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유리기판 관련주 총정리 유리기판에 대해서

by allinone-food 2025. 5. 7.
반응형

유리기판 왜 지금 주목받고 있을까?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는 기존의 유기기판을 대체할 새로운 패키징 기술로 유리기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AI반도체, 고성능 컴퓨팅,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속 신호 전달이 가능한 유리기판의 기술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고 합니다. 유리기판은 말 그대로 유리를 기판 소재로 사용하는 기술로 전기적 특성, 평탄도, 열 안정성 면에서 기존 실리콘이나 세라믹 기판보다 우수합니다. 반도체의 성능이 높아질수록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더 정밀한 배선 구조가 필요해지는데, 유리기판은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반응형

TGV 기술이 만드는 기술적 차이

유리기판 기술의 핵심은 바로 TGV(through glass via) 기술입니다. TGV는 유리 기판에 아주 미세한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반도체 칩 간의 신호를 빠르게 전달하는 공정인데요. 이 과정이 정밀할수록 데이터 손실은 줄고 전력 효율은 높아집니다. 이 기술은 특히 서버, 데이터센터, AI칩 등 고성능을 요구하는 반도체에 적합합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반도체 패키징 기술에서 유리기판과 TGV 공정은 빠질 수 없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리기판 관련주 TOP 10

유리기판의 기술적 가치가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 역시 이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유리 기판과 관련해 주목할 만한 국내 상장사 10곳입니다.

  • SKC는 자회사 앱솔릭스를 통해 유리기판을 양산하고 있으며, AMD를 고객사로 확보했습니다. 기술력과 고객 네트워크 모두 확보한 대표종목입니다.
  • 삼성전기는 충북 세종에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을 운영중이며, 2026년부터 본격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연계도 강점입니다.
  • 필옵틱스는 TGV 공정용 장비를 SKC에 납품하는 기업으로 미세 홀 가공 장비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HB테크놀러지는 유리기판 전용 검사장비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고정밀 검사 기술력이 핵심 경쟁력입니다.
  • 와이씨켐은 유리기판용 포토레지스트, 디벨로퍼 등 반도체 소재를 생산하며, 기판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인 케미컬을 공급합니다.
  • 반응형
  • 제이앤티씨는 베트남에서 TGV 기반 유리기판을 개발 중입니다. 가공 기술을 상용화하면 유력한 수혜주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인텍플러스는 유리기판의 외관 검사 장비를 인텔과 협력해 개발 중입니다. 기술 기반 장비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 한빛레이저는 유리 스크라이빙 및 커팅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유리기판 공정에 꼭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유티아이는 삼성전자에 유리 소재를 납품 중이며, 유리기판 가공으로의 확정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 램테크놀러지는 유리 홀 삭각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인터포저용 유리기판 제작에도 응용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췄습니다.

 

유리기판 관련주에 투자할 때 주목해야 할 내용은 세 가지입니다.

  • 첫째, 기술의 상용화속도입니다. 유리기판은 아직 초기 시장이기 때문에 양산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 둘째,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 여부입니다. SKC처럼 AMD와 협력 중이거나, 삼성전자와 연계된 기업일수록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셋째, 장비 및 소재 부문에서의 독점 기술입니다. 필옵틱스, HB테크놀러지처럼 기술력을 기반으로 장비를 납품하는 기업은 실적 기반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결론적으로 유리기판은 단기 트렌드가 아닌, 반도체 패키징 기술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금, 유리기판은 고성능 반도체의 필수 부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2~3년간 이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지금부터 유리기판 관련주를 눈여겨보고, 각 기업의 기술 진척도나 고객사 확보 여부 등을 체크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특정 종목의 투자나 매매를 권유하는 내용이 아니라 공부차원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모든 투자 판단은 개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기업의 기술력, 시장 환경, 재무 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