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초등학생 보드게임 추천 이순신 장군 보드게임 승경도 조선 시대 전통 보드게임을 만나다

by allinone-food 2024. 12. 31.
반응형

조선 시대의 문화와 놀이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은 승경도입니다. 이 게임은 단순한 보드게임, 단순한 오락의 의미를 넘어선 역사적, 교육적 가치를 지닌 조선 시대의 전통 보드게임으로 당시 귀족과 양반층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임진왜란도 이순신 장군이 부대원들과 즐겨 했던 보드게임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승경도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그리고 현대에서의 재발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승경도 보드게임의 구성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승경도 보드게임 특징

벼슬살이 보드게임 승경도

승경도는 조선시대 관직 체계를 반영한 독특한 보드게임입니다. 승경은 말 그대로 관직을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이 게임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말판 위에서 관직 승진을 목표로 경쟁하고 화려하게 은퇴를 하면서 게임이 마무리됩니다. 승경도는 단순히 놀이 이상의 기능을 합니다. 조선시대 관직 명칭과 체계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교육적 도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사회적 가치관과 계층적 질서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게임설명서가 다른 보드게임에 비해서 두꺼운 설명서 형태로 되어 있는데요.

설명서

앞쪽에는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이 안내되어 있고 뒤쪽에는 승경도 말판에 작성되어 있는 각각읭 조선 시대 관직에 대한 설명과 하는 일에 대해서 작성되어 있고 지방의 판관들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사약을 내리거나 청백리 카드를 뽑을 수 있거나 하는 등의 역사적 사실까지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설명서입니다. 게임을 즐겁게 하는 동안 찾아보면서 함께 익힐 수 있어서 더욱 좋은 보드게임입니다.

 

승경도 게임방식

말판

승경도의 말판 구조는 조선시대의 관직 체계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계층적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아래 쪽에는 낮은 관직이 위쪽에는 높은 관직이 있고 중심부는 한양에서 군무하는 관직이 주변부에는 지방에서 근무하는 형태로 계층적 구조와 한양과 지방을 구분해서 관직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말판에는 다양한 관직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데요. 각 칸은 특정 관직을 해당합니다. 승진을 나타내는 칸 뿐만 아니라 강등을 의미하는 칸도 포함되어 있어서 게임의 긴장감을 높여줍니다.

 

반응형

댓글